본문 바로가기
임신 육아 출산/임신 육아 지식

수족구 증상부터 대처법까지, 우리 아이 아플 때 대처법 총정리!

by mynewseujin17 2025. 8. 4.
반응형

 

여름철이면 유독 자주 들리는 수족구, 이름은 들어봤지만 증상이나 대처법이 헷갈리신 분들 많으시죠? 특히 어린 자녀를 둔 부모님이라면 수족구는 꼭 알아둬야 할 질병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수족구 증상, 수족구 대처법, 수족구 치료까지 실제로 아이가 아플 때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만 쏙쏙 정리해 드릴게요.

📌 목차

  1. 수족구병이란?
  2. 수족구 초기증상 이렇게 나타나요
  3. 수족구 언제까지 전염될까?
  4. 수족구 대처법,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것
  5. 수족구 치료와 회복기간

수족구 관련 이미지

1. 수족구병이란?

 

 

수족구병은 주로 영유아에게 많이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손(手), 발(足), 입(口)에 물집과 궤양이 생긴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에요. 주된 원인은 콕사키바이러스와 엔테로바이러스이며, 6개월~5세 사이의 아이들에게서 흔하게 발병합니다.

특히 여름철에 유행하기 때문에,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들은 전염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죠.

2. 수족구 초기증상 이렇게 나타나요

수족구 초기증상은 감기처럼 가볍게 시작되기도 해요. 그래서 초기에 놓치기 쉬운데요, 다음 증상들이 대표적이에요:

  • 입안에 궤양이나 수포
  • 손, 발, 엉덩이 부위에 물집 또는 발진
  • 미열 또는 고열
  • 식욕 저하, 보챔, 기운 없음

특히 아이가 음식을 잘 먹지 않거나, 입안을 아파할 때 수족구를 의심해볼 수 있어요. 수족구 증상은 발열 후 1~2일 내 피부에 물집이 생기면서 뚜렷해지기 시작해요.

3. 수족구 언제까지 전염될까?

많은 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수족구 전염기간이에요. 보통은 증상이 시작된 날부터 일주일 정도가 전염력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어요.

하지만 중요한 건, **증상이 사라졌더라도 바이러스는 최대 2~4주까지** 대변을 통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위생관리에 신경 써야 해요.

등원은 보통 발열이 없고 물집이 아물 때 가능하니, 무리해서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건 절대 금물이에요!

4. 수족구 대처법,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것

수족구 대처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면서도 꼼꼼함이 중요해요. 기본적으로 바이러스성 질병이기 때문에 특별한 항생제 치료는 없어요. 대신 증상 완화와 회복을 돕는 케어가 중요하답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입안이 아프더라도 물, 미지근한 차 등 자주 마시게 하기
  • 자극 없는 음식: 뜨거운 국물, 짠 음식은 피하고 미음, 두부, 바나나 등 부드러운 음식
  • 구강 위생 유지: 입안 염증이 있어도 양치는 부드럽게 지속
  • 손 씻기 철저: 가족 간 감염 막기 위해 모든 구성원이 수시로 손 씻기

특히 형제가 있다면 장난감, 수건, 식기류를 따로 사용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5. 수족구 치료와 회복기간

앞서 말했듯이 수족구 치료는 바이러스 자체를 없애는 약이 아닌 증상 완화 중심으로 진행돼요.

병원에서는 열이 너무 높거나 통증이 심할 경우 해열제나 진통제를 처방해주기도 해요. 대부분은 7~10일 정도면 자연 회복되며, 아이의 면역 상태에 따라 회복 속도는 다를 수 있어요.

회복 후에도 손톱이 빠지는 증상이 늦게 나타날 수 있는데, 일시적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마무리하며

수족구는 한 번쯤은 겪게 될 수 있는 질병이지만, 초기증상만 잘 파악하고, 부모가 대처를 잘 하면 무사히 지나갈 수 있어요.

아이의 컨디션과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고, 미리 알고 있으면 당황하지 않을 수 있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위생 습관과 예방이라는 것, 꼭 기억해 주세요!

우리 아이가 갑자기 입맛이 없고, 손발에 뭔가 올라왔다면? 이 글을 다시 한 번 확인해보세요.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